Terraform 기본 사용법 (2)
·
DevOps/IaC - Terraform
resource리소스 유형을 "local_file" 로 지정하면 terraform apply 를 실행하는 로컬에 파일이 생성된다. 그런데 아래와 같이 리소스 유형을 "aws_instance" 로 설정한다면 web 이라는 이름의 aws 인스턴스가 생성된다.resource "" "" { = }### EX ###resource "aws_instance" "web" { ami = "ami-123456" instance_type = "t3.micro" count = var.instance_count tags = { Name = "PROJECT-DEV-WEB-01a" }} data데이터 소스는 테라폼으로 정의되지 않는 외부 리소스 또는 저장된 정보를 테라폼 내에서..
Terraform 기본 사용법 (1)
·
DevOps/IaC - Terraform
테라폼을 설치하고 프롬프트에서 terraform --help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어떠한 명령어를 어떤 때에 사용하는지 필히 숙지해야 한다.$ terraform --helpUsage: terraform [global options] [args]The available commands for execution are listed below.The primary workflow commands are given first, followed byless common or more advanced commands.Main commands: init Prepare your working directory for other commands validate..
k9s 설치
·
DevOps/Kubernetes (k8s)
k9s는 Kubernetes 클러스터를 터미널에서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CLI 기반 대시보드다. 마치 htop이 시스템 모니터링을 도와주듯, k9s는 kubectl 없이도 리소스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한다.주요 특징리소스 실시간 모니터링 (Pods, Deployments, Nodes 등)마우스 없이 키보드로만 조작 가능로그 보기, 재시작, 삭제 등 작업도 가능빠르고 가볍다 1. 설치1.1. macOS명령어 하나로 아주 간단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다.brew install derailed/k9s/k9s 1.2. windowschoco 가 설치되어 있다면 macOS 처럼 명령어 한 줄로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choco 또한 설치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k9s..
Local에서 EKS 접근하기
·
DevOps/Kubernetes (k8s)
AWS에서 제공하는 Kubernetes Service 인 EKS(Elaistic Kubernetes Service)는 생성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그저 AWS Console 에서 EKS를 검색하여 'Create Cluster' 를 하면 될 뿐이다.다만 Cluster에 접근하고자 하는 Source에 대해 보안그룹이 추가되어 있어야 하며, 클러스터 운용을 위해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Add-ons 에 대해 점검하고 동작 방식에 대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우선 아래 내용은 EKS를 생성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EKS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아래의 설치 내용이 linux 기준으로 작성된 이유는, 나는 windows 에서 wsl(ubuntu)을 설치해서 진행했기 때문이다. 1...
Terraform-1. 기본사용법
·
DevOps/IaC - Terraform